티스토리 뷰

현재가치 계산방식
1억원을 5% vs 2.5% 이율로 3년 거치 후 3년 분할상환할 때 현재가치(PV) 구하기
✅ 3년 거치: 처음 3년 동안 이자만 납부
✅ 3년 분할상환: 이후 3년 동안 원금+이자를 균등 분할상환
두 가지 대출의 현재가치를 비교하려면 같은 방법으로 각각 계산
📌 현재가치(PV) 구하는 2단계
1️⃣ 거치기간(3년) 동안 이자만 납부하는 부분
- 매년 납부하는 **이자의 현재가치(PV)**를 계산
- 공식: PV이자=PV(할인율,거치기간,−연이자 납부액,0,0)
2️⃣ 분할상환기간(3년) 동안 원리금 균등상환하는 부분
- PMT 함수로 매년 납부할 금액 계산 후, 현재가치(PV)로 변환
- 공식: PMT=PMT(할인율,상환기간,−대출원금,0,0)
- PV원리금=PV(할인율,상환기간,−PMT,0,0)
📌 케이스 1: 연이자율 5% (3년 거치 후 3년 분할상환)
✅ 주어진 조건
- 대출금액: 1억원
- 이자율: 5%
- 거치기간: 3년 (이자만 납부)
- 상환기간: 3년 (원리금 균등 분할상환)
1️⃣ 3년 거치 기간 동안 이자의 현재가치
매년 납부 이자:
1억×5%=5,000,000원1억 \times 5\% = 5,000,000원
엑셀 수식:
=PV(5%, 3, -5000000, 0, 0)
✅ 현재가치(PV): 13,023,014원
2️⃣ 3년 분할상환 기간 동안 원리금 균등상환 현재가치
1) 매년 원리금 납부액 (PMT 함수)
✅ PMT 결과: 36,973,373원 (3년 동안 매년 납부)
2) 분할상환의 현재가치 (PV 함수)
✅ 현재가치(PV): 100,000,000원
3️⃣ 전체 대출의 현재가치
✅ 최종 현재가치: 113,023,014원
📌 케이스 2: 연이자율 2.5% (3년 거치 후 3년 분할상환)
✅ 주어진 조건
- 대출금액: 1억원
- 이자율: 2.5%
- 거치기간: 3년 (이자만 납부)
- 상환기간: 3년 (원리금 균등 분할상환)
1️⃣ 3년 거치 기간 동안 이자의 현재가치
매년 납부 이자:
1억×2.5%=2,500,000원1억 \times 2.5\% = 2,500,000원
엑셀 수식:
✅ 현재가치(PV): 7,201,194원
2️⃣ 3년 분할상환 기간 동안 원리금 균등상환 현재가치
1) 매년 원리금 납부액 (PMT 함수)
✅ PMT 결과: 34,914,275원 (3년 동안 매년 납부)
2) 분할상환의 현재가치 (PV 함수)
✅ 현재가치(PV): 100,000,000원
3️⃣ 전체 대출의 현재가치
✅ 최종 현재가치: 107,201,194원
📌 최종 비교 (현재가치 결과)
5.0% | 13,023,014원 | 100,000,000원 | 113,023,014원 |
2.5% | 7,201,194원 | 100,000,000원 | 107,201,194원 |
📌 결론
- 이자율이 낮을수록 대출의 현재가치는 낮아진다.
- 5% 대출의 현재가치: 113,023,014원
- 2.5% 대출의 현재가치: 107,201,194원
- 즉, 이자율이 낮으면 미래 지급액의 현재가치가 낮아져서 덜 부담된다.
- 3년 거치 기간 동안 내는 이자가 현재가치 차이를 만든다.
- 5% 이자의 현재가치: 13,023,014원
- 2.5% 이자의 현재가치: 7,201,194원
정부보조금인식 분개방법
📌 1. 차액의 계산 (정부보조금 금액)
✅ 현재가치 비교
5% 일반 대출 | 113,023,014원 | 5,821,820원 |
2.5% 정부 대출 | 107,201,194원 |
👉 차액(정부보조금 수익) 계산:
113,023,014−107,201,194=5,821,820원
즉, 5,821,820원이 정부보조금(수익)으로 기장해야 할 금액.
📌 2. 정부보조금 기장 방법
정부대출을 통한 차액(혜택)은 "이연수익"으로 인식 후, 대출 상환 기간 동안 수익으로 환입하는 방식으로 처리.
(1) 대출 실행 시 분개
정부 지원으로 인한 이자율 차액을 이연수익(유동부채) 계정으로 먼저 인식.
📌 분개
✅ 이연수익(정부보조금)은 정부의 금리 차이로 인한 혜택이므로, 대출 기간 동안 수익으로 인식해야 함.
(2) 매년 정부보조금 수익 인식
정부보조금 차액(이연수익)은 매년 일정 금액씩 수익으로 환입.
📌 분개 (매년 정부보조금 환입)
✅ 이연수익을 3년간 나누어 "기타영업외수익"으로 인식.
📌 3. 최종 정리
대출 실행 | 보통예금 | 100,000,000 | |
장기차입금 | 107,201,194 | ||
이연수익 (정부보조금) | 5,821,820 | ||
매년 수익 인식 | 이연수익 (정부보조금) | 1,940,607 | |
기타영업외수익 | 1,940,607 |
✅ 이연수익을 대출기간(3년) 동안 수익으로 환입하여 회계처리 완성.
'경제경영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주요 은행(1금융 + 인터넷전문은행)의 중도상환수수료율 비교 (2) | 2025.03.24 |
---|---|
경제 상식 퀴즈! 당신의 금융지식은? (6) | 2025.03.20 |
정액법 vs 정률법 – 법인세 결산 시 감가상각 계산기 공유 (0) | 2025.03.15 |
관세청 신고취하 사유서 양식 공유 / 해외발송 후 신고취하시 사용 (1) | 2025.03.07 |
중진공 2024년 정책자금 융자 대상 확인하기 (84) | 2024.01.03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bts
- 해외직구
- 종자검사
- 종자생산학
- 종자기사
- 포장검사
- 종자기사 실기
- 인공지능그림
- 최저가쇼핑
- 미국주식정보
- KR2me
- 베트남투자정보
- 베트남
- AI제작툴
- 베트남주식
- 종자산업기사
- 프롬프트모음
- 실기기출
- 채종기술
- 파이코인
- 농업회사
- Korean address
- 미국주식
- Korea2me
- 종자기사실기
- 경매정보
- 식물육종학
- 순도분석
- Korea visa
- 채종의생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